⚙️환경설정 팁 모음 12

.zshrc이 텅텅 비어있어요!

.zshrc(닷 지셀알씨) 이 이야기는 루비(ruby 3.2.2) 버전을 설치하다가 .zshrc을 통으로 날려버린 슬픈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먼저 .zshrc 에 대해 알아봅시다. .zshrc은 Zsh 쉘의 설정 파일로, 사용자 정의 환경을 설정하고 쉘 동작을 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파일은 주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위치하며, Zsh 쉘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사용자는 이 파일을 수정하여 다양한 환경 변수, 별칭, 함수 및 기타 설정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라면 새 맥북을 받으면 설정하는 것이 iTerm2, Oh My ZSH 등등 일 것입니다. 이들을 설정하면 zshrc 파일이 채워집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해당 프로젝트를 로컬 환경에 다운 받고, 서버를 키는..

Mac에서 Postgresql 설치 및 초기 세팅과 Dbeaver 설치

개인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백엔드 분께서 로컬에서 DB 세팅 후 백엔드 서버를 설치하고 서버를 켜는 방법을 알려주셔서 기록을 남기기 위해 글을 남깁니다. 프론트엔드가 로컬에서 DB 설치 후 서버켜는 방법을 알면 좋은 점은?! 1. 간혹 가다가 프론트엔드 테스트를 하다가 서버가 다운되는 경우, 쉬고 있는 백엔드 개발자에게 부탁을 하지 않아도 된다. 2. 데이터가 실제로 어떻게 저장되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신기하다. 3. 데이터가 들어가는지 안들어가는지 직접적으로 확인이 가능해서 디버깅이 용이하다. 1. Homebrew로 PostgreSQL 설치 brew install postgresql 1-1. 만약 Homebrew가 설치되지 않았다면?! /bin/bash -c "$(curl -fsSL https://ra..

Mac 업그레이드 후 xcrun: error: invalid active developer path 에러 해결하기

이번 MacOS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1. 기존에 작업하던 vscode 의 git 연동이 풀려있음. 2. Git을 재설치하라고 안내창이 나. 3. 터미널에 ```git --version``` 명령어를 치면 아래처럼 무서운 에러가 나옴 4. 할 수 없이 brew로 git을 설치하려는데 뭔가 느낌이 쎄해서 찾아보았더니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해결 방법 xcode-select --install 몰랐는데 MacOS 업데이트 높은 확률로 나오는 개발 관련 툴을 실행시 나오는 에러라고 합니다. 각 도구들의 문제가 아닌 Command line tool을 식별해서 발생한 문제라고 합니다. 설치는 대략 2~3분 정도 걸렸고, 문제가 있던 git이 정상적으로 돌아왔습니다.

nvm 설치 방법, 프로젝트마다 node 버전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 (mac)

nvm 설치 방법 1. brew 설치 2. brew를 활용하여 nvm 설치 brew install nvm 3. 환경 변수 설정 - ~/.nvm 디렉토리 생성 mkdir ~/.nvm touch ~/.zshrc vi ~/.zshrc 파일 내에 코드 입력 export NVM_DIR="$HOME/.nvm" [ -s "$NVM_DIR/nvm.sh" ] && \. "$NVM_DIR/nvm.sh" # This loads nvm esc + :wq(저장 후 종료) source 명령어로 스크립트 실행 source ~/.zshrc mac에서 프로젝트마다 node 버전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 1. vscode 익스텐션 설치하기 vscode nvm integration 2. 프로젝트에 .nvmrc 생성하기 3. nvm list ..

유용한 vscode 익스텐션 추천! file-tree-generator

기업 과제를 하거나 프로젝트 후 리드미를 꾸미는 건 개발자의 필수 역량이라는 말을 듣고 리드미 작성하는데 관심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다른 분들의 프로젝트 리드미를 구경하다가 프로젝트 파일 구조를 보기 쉽게 작성하신 분들이 많다는 걸 알았고, 저도 그 방법에 대해서 궁금했습니다. 저는 최근에 비지니스 로직과 뷰 로직을 분리하는 것에 관심이 생기기도 했고, react-query를 사용한 프로젝트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로직을 hook으로 만들어서 사용한 간단한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내가 관심사 분리를 했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자랑하고 싶은 마음이 컸습니다. 그래서 발견한 vscode의 익스텐션! file-tree-generator ⚡️file-tree-generator ⚡️사용방법 트리 구조로 시각화하고 싶은 파..

vite 환경에서 기본 포트 설정하기, vite 환경에서 서버 자동으로 실행하는 방법

그동안 CRA(create-react-app)만을 사용하다가, 현직에서는 CRA보다 Vite를 더 많이 사용한다는 말에 Vite가 궁금해졌습니다. Vite는 esbuild를 사용해서 빌드 속도가 빠른 빌드 도구 입니다. 빠르다는 이야기에 바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CRA보다 체감상 정말 빨랐고, 바로 vite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package.json "scripts": { "dev": "vite", "build": "vite build", "preview": "vite preview" }, package.json에는 "dev"라는 명령어로 브라우저를 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npm run dev를 하면 아래와 같은 주소에 실행됩니다. 그런데 CRA환경과 다르게 자동으로 브라우저가 열리지 않고, c..

vite 환경에서 proxy 설정하는 방법, vite 환경에서 cors 에러 해결하기

메인 프로젝트에서는 CRA보다 빠른 환경에서 개발을 할 수 있다는 멘토님의 말에 vite 환경에서 개발을 하게 되었습니다. 프론트단에서 cors 에러를 해결하기 위해 proxy 설정을 하게 되었고, cra 환경과는 다른 설정 방법이기에 정리합니다. import { defineConfig } from "vite"; import react from "@vitejs/plugin-react"; import svgr from "vite-plugin-svgr"; // https://vitejs.dev/config/ export default defineConfig({ plugins: [svgr(), react()], esbuild: { define: { this: "window", }, }, server: { pr..

리액트 webpack으로 빌드하는 방법

1. init-y 하기 init -y 2. 리액트 파일 만들던가 복사하기 리액트 설치하고 import하기 npm i react react-dom 3. 웹팩, 웹팩-cli 설치하기 npm install -D webpack webpack-cli 4. 바벨 설치하기 npm install -D babel-loader @babel/core @babel/preset-env @babel/preset-react babel-loader 역할: ES6 => ES3, JSX => JS 나머지 역할 : 바벨 설정값 5. webpack.config.base.js 파일 만들기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HtmlWebpackPlugin = require('html-webpack-plugin')..

[Express, Node.js] 노드몬, nodemon, 서버를 매번 실행하지 않는 방법, 노드몬 설치 방법

매번 파일을 실행하지 않고, npm start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 노드몬을 이용하자!! 👇설치방법👇 npm install nodemon으로 설치 package.json의 "scripts"에 아래 코드를 추가하기 "start": "nodemon server/basic-server.js" or npx nodemon으로 server/basic-server.js 파일을 실행하기 npx nodemon server/basic-server.js 참고 https://github.com/remy/nodemon 😃 잘못된 개념 전달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저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됩니다🤓